본문 바로가기
6월

컴프리, 백정화, 금낭화

by 이은 아네스 2008. 6. 6.

 

 

 

 

 

 

 

 

 

 

원효암 뒷뜰에 컴프리가 연보라꽃을 활짝 피웠다.

학창시절에 학교앞 마로니에 찻집에서

향이 참 좋아서 늘 컴프리를 즐겨 마셨던 기억이 난다.

그냥 지나려다 가까이 가보았다.

꽃술에 보라빛 레이스를 두른듯 보라빛이 아주 곱다.

 

 

 

 

 

 

 

 

 

 

 

 

 

 

 

 

 

 

 

 

 

 

 

 

 

 

 

 

 

 

 

 

 

 

 

 

 

 

 

 

앞뜰에 피어있는 하얀꽃 백정화는 가위로 이쁘게 공작하듯이

살짝 웨이브가 들어있는 꽃잎에 보라빛이 조금 서려있다.

꽃부리의 T자가 뚜렷하게 보인다.

 

 

 

 

  

 

 

 

 

 

 

 

 

 

 

 

 

 

 

 

 

 

 

 

옆에 금낭화가 있다.

돌연변이인지 금낭화 세송이가 머리부분이 붙어 있다.

참 이상하기도하다.

 

 

 

 

  

 

 

 

 

 

 

 

 

 

 

 

 

 

 

 

                                                               컴프리[comfrey]/참고/daum사전/                                                               

학명[Symphytum officinale]: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지치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유라시아산 약용식물
특히 심피툼 오피키날레(S.officinale)를 말하는데, 이는 상처를 치료하거나 양털을 처리하는 검의 원료로 쓰인다. 둘둘 감겨 피는 꽃은 종 모양으로 깊게 5갈래로 갈라져 매달려 있다. 대개 벌에 의해 꽃가루받이가 일어난다. 열매는 4개의 난형 소견과(小堅果)로 맺힌다. 심피툼 오피키날레는 키가 약 90㎝로 날개가 있고 털이 달린 줄기와 푸른색·자줏빛·노란색의 꽃이 핀다.

       백정화/참고/naver사전/     

학명[Serissa japonica]: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꼭두서니과의 상록관목
꼭두서닛과의 상록 관목.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다. 5~6월에 흰색 또는 옅은
 붉은색의 꽃이 피는데, 꽃부리가 깔때기 모양으로 옆에서 보면 ‘T’ 자처럼 보여 흰색 꽃이 피는 정화라는 이름이 생겼다. 중국 남부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쓰고 울타리에 많이 심는다. 

                                                                                                                                                                                    

 

  

'6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래지치, 땅채송화, 번행초  (0) 2008.06.10
바위취,삼색제비꽃,산달래,산딸기,뱀딸기  (0) 2008.06.07
고깔제비꽃의 일생  (0) 2008.06.05
기린초  (0) 2008.06.05
고깔제비꽃의 결실  (0) 2008.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