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합과 식물이라 모양이 둥굴레나 애기나리와 비슷하지만
조금씩 다른점을 이젠 구별할 수 있을 것 같다.
풀솜대도 잎은 백합과 다른 꽃과 거의 비슷하지만
줄기 맨 끝 위에 달린 하얀 꽃은 완전히 다르다.
하얀 별모양의 조그만 꽃이 피어 있고 꽃망울이 많이 맺혀 있다.
꽃망울을 모두 터트리면 초록잎과 하얀 꽃타래가 어우러져서 더욱 이쁠 것이다.
또 하나의 꽃송이가 나에게로 와서 꽂혀버렸다.
깊은 숲 속에서 꽃들에게 포위된 멋진 하루이다.
풀솜대/참고/naver사전/
학명[Smilacina japonica]: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솜대·솜죽대·녹약이라고도 한다. 산지의 숲속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육질이고 옆으로 자라며 끝에서 원줄기가 나와 비스듬히 20∼50cm로 자라며 위로 올라갈수록 털이 많아진다. 밑부분은 흰색 막질의 잎집으로 싸여 있다. 잎은 어긋나고 5∼7개가 두 줄로 배열하고 긴 타원형으로 세로맥이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다. 잎 끝은 뾰족하며 밑은 둥글고 길이 6∼15cm, 나비 3∼5cm로 잎자루가 짧다. 꽃은 5∼7월에 피고 흰색이며 원줄기 끝의 복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은 지름 5mm 정도이고 작은꽃자루는 길이 2∼3mm이다. 화피갈래조각은 6개이고 긴 타원형으로 길이 3∼4mm이며 끝이 둔하다. 수술은 6개로 화피보다 짧다. 열매는 장과로서 둥글고 지름 5mm 정도이며 붉은색으로 익는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사지마비·생리불순·종기·타박상에 약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