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대난초까지 발견했으니 행운의 5월이다.
숲속의 아름다운 선물을 많이도 받았으니 가슴이 무척 설레인다.
표현을 이쁘게 못해 아쉽지만 머리속에 귀하고 고아한 꽃으로
기억하고 있고 그 설레임이 살아있으니 참 행복하다.
땅비싸리가 화려한 분홍꽃으로 유혹하고
곁에서 산초나무까지 향을 강하게 마구 뿌려대도
아무도 그 곳으로 시선을 주지 않는다.
모두 그윽한 은난초와 은대난초의 매력에 사로잡혀버렸다.
그날 은난초와 은대난초의 인기는 하늘로 떠오르는 풍선처럼
떨어질 줄 몰랐다.
은대난초/참고/naver사전/
학명[Cephalanthera longibracteata]: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은대란이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30∼50cm이다. 6∼8개의 잎이 달린다. 밑부분은 칼집 모양의 잎이 원줄기를 감싼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거나 넓은 바소꼴로서 길이 7∼15cm, 나비 1.5∼4cm이다. 뒷면과 가장자리에 흰 돌기가 있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고 퍼지지 않는다. 꽃차례 밑의 포가 꽃차례보다 길다. 포는 줄 모양이거나 넓은 줄 모양이며 길이 4∼ 7mm이다. 꽃받침조각은 바소꼴이며 길이 11∼12mm이다. 꽃잎은 길이가 짧고 나비가 넓다. 꿀주머니가 있고 씨방에 털 같은 돌기가 난다. 열매는 삭과로서 9월에 익으며 번식은 포기나누기로 한다. 은난초와 비슷하지만 첫째포가 꽃차례보다 길고 포기 전체에 털 같은 돌기가 나는 것이 다르다. 은난초는 꽃이 잎보다 위로 올라 피어 있으며 은대난초는 꽃대 옆의 잎이 꽃보다 길다. 관상초로 심으며 한국·일본 등지에 분포한다.